오늘은 2024년 기준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. 기준중위소득은 70여개 복지사업 지원대상의 선정기준으로 활용되고 있기 때문에 꼭 알아두셔야 손해를 보지 않습니다.
2024년 기준중위소득
기준중위소득이란, 국민의 가구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,
그리고 이 기준중위소득이 중요한 이유는 기초생활수급자를 비롯하여 정부의 70여개 복지사업의 지원대상 선정기준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
2023년 기준중위소득
그럼 현재 적용하고 있는 2023년 기준중위소득은 어떻게 되고, 이 기준이 2024년도에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구분 | 2023년 | 2024년 |
---|---|---|
1인가구 | 2,077,892 | 2,228,445 |
2인가구 | 3,456,155 | 3,682,609 |
3인가구 | 4,434,816 | 4,714,657 |
4인가구 | 5,400,964 | 5,729,913 |
5인가구 | 6,300,688 | 6,695,735 |
6인가구 | 7,227,981 | 7,618,369 |
2024년도 기준중위소득은 역대 최대 수준으로 인상하는데요.
1인가구 기준 7.25%, 4인가구 기준 6.09% 인상됩니다.
기초생활수급자 혜택 증가
기준중위소득이 중요한 이유는 바로 기초생활수급자 자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요.
기준중위소득 인상으로 인해 새롭게 수급혜택을 보는 가구만 해도 2만 5천 가구에 이른다고 합니다.
함께 보면 좋은 글
기초생활수급 자격 및 수령액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, 아래 글을 꼭 확인해 주세요.
마무리
오늘은 2024년 기준중위소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각종 복지혜택의 기준이 되는 만큼 꼭 확인하고 넘어가셨으면 합니다. 감사합니다.